본문 바로가기
기타관련정보

기타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 처음부터 바로잡아야 할 잘못된 습관들

by Muzicsss 2025. 7. 17.
반응형

기타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 처음부터 바로잡아야 할 잘못된 습관들

기타를 처음 배우는 과정은 기대와 설렘으로 가득하지만, 동시에 수많은 시행착오와 실수도 동반된다. 누구나 처음에는 서툴고 익숙하지 않기 마련이지만, 중요한 것은 기타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를 조기에 인지하고 교정하는 것이다. 실수를 반복한 채 습관화되면 교정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며, 심할 경우 기타 연습 자체에 흥미를 잃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초보 기타리스트들이 자주 저지르는 대표적인 실수들을 정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피하는 방법을 함께 소개한다.

1. 잘못된 자세로 연습하기

가장 흔하고도 치명적인 실수는 바르지 않은 자세로 연습을 시작하는 것이다. 등이 구부정하거나 손목이 꺾인 채로 연습을 지속하면, 연주에 불편함이 생길 뿐 아니라 신체적인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기타 넥을 너무 세우거나 과하게 눕히는 것도 나쁜 습관이다.

해결 방법: 척추를 곧게 펴고, 기타 바디는 허벅지 위에 안정적으로 올리며, 왼손과 오른손 모두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포지션을 잡는다. 가능하면 거울을 보며 자세를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2. 손가락에 너무 많은 힘을 주는 습관

기타 줄을 제대로 누르려는 의욕 때문에 많은 초보자들이 손가락에 과도한 힘을 준다. 이로 인해 손가락이 쉽게 피로해지고, 프렛 위에서 손가락이 경직되어 자연스러운 운지가 어렵다. 또한 손의 유연성이 떨어져 코드 전환이 느려진다.

해결 방법: 줄을 누를 때 최소한의 힘으로도 선명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연습하자. 손가락의 압력보다는 프렛 가까이 정확히 눌러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필요한 힘만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자.

3. 코드 전환을 리듬 없이 반복

기타 초보자들이 자주 하는 실수 중 하나는 리듬을 무시한 채 코드 전환만 반복하는 것이다. 코드 운지에만 집중하다 보면 실제 곡에서의 흐름을 놓치기 쉽고, 연주가 단절되어 보이게 된다.

해결 방법: 반드시 메트로놈이나 단순한 리듬에 맞춰 코드 전환을 연습하자. 템포가 느리더라도 일정한 박자 안에서 코드가 전환되도록 해야 한다. 리듬과 코드 전환은 동시에 연습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4. 피킹 위치와 각도 무시

오른손 피킹의 위치와 각도를 신경 쓰지 않고 줄을 치는 것도 자주 보이는 실수다. 특히 줄을 깊게 파고들거나 지나치게 얕게 긁는 경우, 음색이 탁하거나 일정하지 않은 소리가 난다. 손목 대신 팔 전체를 사용하는 것도 흔한 오류다.

해결 방법: 피크를 줄에 수직으로 대지 말고 약간 기울인 각도로 가볍게 긁어야 한다. 손목을 부드럽게 움직이며 피킹하되, 줄 사이를 정확히 겨냥하는 감각을 익혀야 한다.

5. 튜닝을 무시하거나 대충 넘김

기타가 제대로 튜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습을 계속하는 것은 실력 향상에 큰 걸림돌이다. 음이 틀어진 기타로 연습하면 음감을 왜곡시키고, 코드나 멜로디가 정확하게 들리지 않아 실수가 반복된다.

해결 방법: 매일 연습 전 반드시 튜닝을 확인하고 조율하자. 스마트폰 앱이나 클립형 튜너를 활용하면 간편하게 튜닝할 수 있다.

6. 연습 시간을 한 번에 몰아서 함

기타를 열심히 배우고 싶은 마음에 하루에 몇 시간씩 몰아서 연습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손에 무리를 주고 집중력 저하로 이어져 비효율적이다. 반복 훈련도 오래 유지되지 않아 금세 피로가 쌓인다.

해결 방법: 하루 15~30분씩 짧게, 자주 연습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아침 15분, 저녁 20분 식으로 나누는 것이 좋다. 꾸준함이 핵심이다.

7. 쉬운 곡만 반복하거나 지나치게 어려운 곡에 도전

자신감이 부족한 경우 너무 쉬운 곡만 계속 반복하거나, 반대로 조급한 마음에 실력에 비해 너무 어려운 곡에 도전하는 경우도 많다. 전자는 발전을 느끼기 어렵고, 후자는 쉽게 좌절하게 만든다.

해결 방법: 현재 실력보다 약간 높은 난이도의 곡을 선택하자. 연습 중 ‘조금 어렵지만 가능하다’는 수준이 실력 향상에 가장 적절하다.

8. 연습 계획 없이 무작정 기타를 잡는 경우

그날그날 생각나는 대로 기타를 잡고 연습하다 보면, 특정 부분에만 편중되거나 중요한 영역을 놓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연습의 질과 균형이 떨어진다.

해결 방법: 간단한 연습 루틴이라도 미리 계획하자. 예: 워밍업 → 코드 연습 → 리듬 연습 → 곡 연습 → 복습


기타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는 대부분 작은 습관에서 비롯된다. 이 실수들은 잘못된 자세, 불필요한 힘, 리듬 무시, 튜닝 소홀 등으로 나타나며, 연습 효율을 떨어뜨리고 실력 향상을 더디게 만든다. 하지만 이를 인식하고 조기에 교정하면 기타 학습의 효율은 비약적으로 높아진다. 기타는 정확한 방향으로, 꾸준히 연습할수록 분명한 진전을 보이는 악기다. 처음부터 바른 습관을 들이는 것이 결국 가장 빠른 길이다.

반응형